1. 웹 환경에서 쿼리문을 이용하여 ERD 제작하기

 1) 주어진 자료에 맞는 테이블을 쿼리문으로 구성하고

 2) 웹사이트를 통해 작성한 쿼리문을 ERD로 제작하기

 

2. ERD(Entity-Relationship Diagram)

  • 데이터의 "구조" 및 그에 수반한 제약 조건들은 다양한 기법에 의해 설계될 수 있는데 그 중 하나가 개체-관계 모델링(Entity-Relationship Modelling)이며, ERM이라고 한다.
  • ERM 프로세스의 산출물을 ERD(Entity-Relationship Diagram)라고 한다
  • ERD는 개념적 데이터 모델 혹은 시맨틱 데이터 모델의 한 타입이다

 

 

CREATE TABLE user (
  id INT PRIMARY KEY AUTO_INCREMENT,
  name varchar(255) NOT null,
  e_mail varchar(255) NOT null,
  role_id INT,
  FOREIGN KEY(role_id) REFERENCES role(id) ON DELETE CASCADE
);

CREATE TABLE content (
  id INT PRIMARY KEY AUTO_INCREMENT,
  title varchar(255) NOT null,
  body varchar(255) NOT null,
  created_at timestamp DEFAULT current_timestamp,
  user_id int,
  FOREIGN KEY(user_id) REFERENCES user(id) ON DELETE CASCADE
);

CREATE TABLE role (
  id INT PRIMARY KEY AUTO_INCREMENT,
  name VARCHAR(255) NOT null
);

CREATE TABLE catagory (
  id INT PRIMARY KEY AUTO_INCREMENT,
  name VARCHAR(255) NOT null
);

CREATE TABLE content_catagory (
  id INT PRIMARY KEY AUTO_INCREMENT,
  content_id INT NOT null,
  catagory_id INT NOT null,  
  FOREIGN KEY(content_id) REFERENCES content(id) ON DELETE CASCADE,
  FOREIGN KEY(catagory_id) REFERENCES catagory(id) ON DELETE CASCADE
);

 

※ 참조 링크

▶ ERD : 개체-관계 모델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(wikipedia.org)

 

개체-관계 모델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
데이터 모델링 분야에서 개체-관계 모델이란 구조화된 데이터에 대한 일련의 표현이다. 서로 관계된 두 개의 엔티티 "구조"화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쓴다. 이 데이터의 "구

ko.wikipedia.org

 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