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스키마(schema)
-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가 구성되는 방식과 서로 다른 엔티티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이다
- 데이터베이스의 청사진과 같다
- 데이터베이스의 열의 집합체 = 테이블 이다
- 데이터베이스의 행 = 레코드 이다
- 행과 열의 필드 공간은 크기를 지정해야 한다
2. 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elation database)
- 구조화된 데이터는 하나의 테이블로 표현할 수 있다
- 사전에 정의된 테이블을 relation 이라고 한다
- 테이블을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(relation database)라고 한다
1) 용어 정의
- 데이터(data) : 각 항목에 저장되는 값이다
- 테이블(table) : relation이라고도 하며, 사전에 정의된 열의 데이터 타입에 맞춰 데이터가 행으로 축적된다
- 칼럼(column) : 테이블에 있는 한 개의 열을 말한다
- 레코드(record) : tuple이라고도 하며, 테이블에 있는 한 개의 행을 말한다
- 키(key) : 테이블의 각 레코드를 구분할 수 있는 값이다
- 각각의 레코드는 고유한 값을 가진다
- 기본키(primary key)와 외래키(foreign key)가 있다 - 기본키(primary key) : 테이블의 기본 값이며, 변하지않는 고유값이다
- 외래키(foreign key) : 어떤 값을 참조하고 있는 값을 지칭한다
2) 관계 종류
- 1 : 1 관계 (One-to-one relationship)
- 한 개의 레코드가 다른 테이블의 레코드 한 개와 연결된 관계이다
- 1 : 1 관계는 직접 저장하는 것이 쉬울 수 있으므로 자주 사용하지 않는다

- 1 : N 관계 (One-to-many relationship)
- 한 개의 레코드가 다른 테이블의 여러 개의 레코드와 연결된 관계이다

- N : N 관계 (many to manyrelationship)
- 여러 개의 레코드가 다른 테이블의 여러 개의 레코드와 연결된 관계이다
- 아래와 같은 테이블 구조에서는 관계를 표현하기가 복잡하다

- N : N 관계를 쉽게 표현하기 위하여 JOIN 테이블을 삽입한다
- JOIN 테이블을 생성하더라도 JOIN 테이블의 기본KEY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

- 자기참조 관계(Self Referencing Relationship)
- 한 개의 테이블 내에서 연결되는 레코드를 가지는 관계이다

※ 참조링크
▶ DBML : https://www.dbml.org/docs/#project-definition
DBML - Full Syntax Docs | DBML
DBML - Full Syntax Docs DBML (database markup language) is a simple, readable DSL language designed to define database structures. This page outlines the full syntax documentations of DBML. Take a look at an example below: Table users { id integer username
www.dbml.org
'관계형 데이터베이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- SQL - ERD(Entity-Relationship Diagram)설계 (0) | 2022.06.13 |
|---|---|
|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- MySQL 설치 (0) | 2022.06.09 |
|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- 트랜젝션(Transaction) (0) | 2022.06.09 |
|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- SQL(Structured Query Language) (0) | 2022.06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