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산술 연산자(Arithmetic operator)
- 산술연산자는 사칙 연산자와 나머지 연산자를 말한다
- 나머지 연산자는 모듈로(modulo) 연산자라고도 한다
연산자 | 기능 | 예시 | 결과값 |
+ | 두 항을 더한다 | 7 + 3 | 10 |
- | 앞에 있는 항에서 뒤에 있는 항을 뺀다. | 7 - 3 | 4 |
* | 두 항을 곱한다 | 7 * 3 | 21 |
/ | 앞에 있는 항에서 뒤에 있는 항을 나누어 몫을 구한다 | 7 / 3 | 2 (int 타입의 경우 정수로 반환) |
% | 앞에 있는 항에 뒤에 있는 항을 나누어 나머지를 구한다 | 7 % 3 | 1 |
2. 비교 연산자(Comparison operator)
1) 대소 비교 연산자(Small-to-large comparison operator)
- boolean을 제외한 나머지 기본 타입에 사용 가능하다
- 항상 대소 비교연산자 <, > 를 우선 사용하여야 한다
- 이항비교만 가능하기 때문에 논리 연산자 or(||), and(&&) 와 함께 사용한다
대소 비교연산자 | 결과값 |
5 > 3 | true |
5 <= 5 | true |
3 > 2 | true |
2 >= 3 | false |
2) 등가 비교 연산자(Equivalent comparison operator)
- 비교 대상의 값이 동등한지 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한다
등가 비교연산자 | 결과 |
5 == 3 | false |
5 == 5 | true |
3 != 2 | true |
3 != 3 | false |
3) 조건 연산자(Condition operator)
- 삼항 연사자로 구성은 아래와 같다
더보기
조건식 ? 참일 경우 결과 : 거짓일 경우 결과;
int age = 20;
int condition = age > 10 ? 20 : 10;
System.out.println(condition);
// age의 값이 10보다 크면 20이 conditione에 저장되어 20이 출력
// age의 값이 10보다 작으면 10이 conditione에 저장되어 10이 출력
String condition;
String name = "Kim";
condition = name.equals("Kim") ? "yes" : "no";
//name 변수의 값이 "Kim"과 같으면 "yes" 다르면 "no"가 저장
System.out.println(condition);
// "yes"가 출력
3. 논리연산자(logical operator)
- boolean 타입을 반환하는 연산자이다
AND OR NOT && || ! 피연산자 두 개의 값이
모두 true일 때 true를 반환한다
하나라도 true가 아니면 false를 반환피연산자 두 개의 값이
모두 false일 때 false를 반환한다
하나라도 true면 true를 반환true와 false를 반대로 바꾼다
4. 연산자 우선순위
우선순위 | 연산자 | 내용 |
1 | (),[] | 괄호 / 대괄호 |
2 | !, ~, ++, -- | 부정/ 증감 연산자 |
3 | *, /, % | 곱셈 / 나눗셈 연산자 |
4 | <, <=, >, >= | 대소 비교 연산자 |
5 | && | AND 연산자 |
6 | || | OR 연산자 |
7 | ? : | 조건 연산자 |
8 | =, +=, -=, /=, %= | 대입/할당 연산자 |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- 제어문(Control Flow Statements) (0) | 2022.06.02 |
---|---|
Java - 콘솔 입출력(I/O) (0) | 2022.06.02 |
자료구조 - 트리(Tree) (0) | 2022.05.30 |
메서드 모음(method) (0) | 2022.05.29 |
Java - 상수(Constant), 리터럴(Literal) (0) | 2022.05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