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상수(Constant)
- 변수와 같이 값을 저장하는 공간이지만, 입력된 값을 변경할 수 없는 고정된 값을 의미한다
- 변수의 타입 앞에 final 을 붙여서 사용한다
- 상수의 참조변수명은 일반적으로 대문자로 사용하며, 언더스코어 '_'를 넣어서 구분한다
- 값을 한 번만 저장할 수 있다
final int A_B = 3.141592;
final double B_C = 3.141592;
final int A_B; //상수를 선언한다
A_B = 3.141592; //한번에 한하여 값을 저장할 수 있다
A_B = 3 //변경이 불가하므로 에러가 발생한다
1) 상수의 사용 목적
- 프로그램 실행 시 값이 변하면 안되는 경우에 사용한다
- 실수로 값을 재할당 할 경우 에러가 발생하여 문제 발생을 차단할 수 있다 - 고정된 값의 상수명을 사용하여 코드의 효율을 높인다
- 코드의 여러 부분에 상수를 사용한 후 값을 변경할 때 상수 한 개의 값만 변경해 주면 된다
2. 리터럴(Literal)
- 변수의 값 자체를 가르킨다
- float 타입의 변수에 실수형 리터럴을 할당할 때, 접미사 f를 붙여준다
- long 타입의 변수에 정수형 리터럴을 할당할 때, 접미사 L을 붙여준다
- 소문자 l을 붙여도 되지만, 숫자와의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보통 대문자 L을 사용한다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료구조 - 트리(Tree) (0) | 2022.05.30 |
---|---|
메서드 모음(method) (0) | 2022.05.29 |
Java - 문자열 변환 후 저장(StringBuilder / StringBuffer) (0) | 2022.05.29 |
Java - 문자열 분리(StringTokenizer) (0) | 2022.05.29 |
자료구조 - 스택(Stack) (0) | 2022.05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