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Spring Framework 실습환경 구성

  • JDK-11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
  • JAVA_HOME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
  • IntelliJ Community Edition이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

2. Spring Boot 기반 샘플 프로젝트 생성

  • Spring Initializr 기능을 이용하여 IntelliJ Community Editiond에서 프로젝트 생성한다
  • https://start.spring.io/ 스프링 부트 기반의 프로젝트를 만들어 주는 사이트로 이동한다

  •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
    - Project 항목은 최근에 Gradle 을 많이 사용한다
    메이븐(Maven)과 그래들(Gradle)의 개념 및 비교 — 슬기로운 개발생활😃 (tistory.com)
    - Spring Boot 항목은 자동 설정된 상태 그대로 사용한다
    - SNAPSHOT는 만들고 있는 버젼을 의미한다
    - 3.0.0(M3)는 기능 개발은 되었지만 출시 소프트웨어가 결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
    - Project Metadata 항목은 사용자에 맞게 변경해 준다
      → Group : 기업이나 도메인 명을 주로 작성한다
      → Artifact : 결과물의 이름을 작성한다(프로젝트명)
      → Name : Artifact 명으로 자동 작성된다
      → Description
      → Package name : Group + Artifact 결합으로 자동생성
      → Packaging
         : 일반적으로 Spring Boot 애플리케이션은 WAS를 내장하고
           있는 Jar 파일 형태로 배포해서 실행한다
         : 개발한 코드들을 빌드해서 하나의 빌드 결과물로 만들어
           낸다는 의미이다        
      → Java : 컴퓨터에 설치된 버젼을 선택한다

 

  •  우측의 ADD DEPRNDENCIES를 클릭하여 아래의 모듈을 선택한다
    - 어떤 스프링 기반의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한다
    - Lombok
     : @Getter, @Setter 등의 애노테이션을 통해 자주 사용하는 Java 코드를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라이브러리이다
    - Spring Web
  • 하단의 GENERATE를 클릭하여 샘플 프로젝트를 다운한다

  • 별도의 project 폴더를 만들고 다운받은 파일을 압축해제 한다

 

3. 탬플릿 프로젝트 열기

  • IntelliJ를 열고 다운로드 한 폴더를 open 한다

  • 신뢰할 수 있는 파일인지 묻는다면 ok하고 진행한다
  • 템플릿 프로젝트를 오픈하면 Gradle 빌드 툴이 자동으로 빌드 작업을 한다

  • 빌드가 진행됨에 따라 External Libraries 하위에 의존 라이브러리들이 생성된다

  • External Libraries 하위에 의존 라이브러리들이 보이지 않을 경우 아래와 같이 진행하여 라이브러리를 생성한다
    - 우측의 메뉴에서 Gradle 탭을 눌러서 오픈한다

- 프로젝트 이름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컨텍스트 메뉴를 오픈한다
- Reload Gradle Project를 클릭한다
- External Libraries 하위에 의존 라이브러리가 있는지 확인한다
- 그래도 나타나지 않으면 IntelliJ를 종료 후 다시 진행해 본다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4. Lombok 설정

  • IntelliJ 상단의 File 메뉴에서 Setting 을 오픈한다

  • [Build, Execution, Deployment] > [Compiler] > [Annotation Processors] 메뉴를 선택한다
  • [Enable annotation processing] 체크 박스에 체크한 후, [Apply] > [OK] 버튼을 차례로 클릭한다

  • [Enable annotation processing] 체크 박스에 체크를 해야 Lombok을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

 

5. Spring Boot Application 동작 확인

  • IntelliJ에서 Section2Week3Application.java 파일을 더블 클릭해서 오픈한다

  • 파일을 실행시킨다
  • 실행 라인에 .Section2Week3Application  : Started Section2Week3Application in 2.013 seconds (JVM running for 2.383) 문구가 출력되면 정상 실행된 것이다 

  • 죄측의 실행아이콘이 계속 돌고 있는 것은 애플리케이션 자체가 내장 WAS에서 실행이 되고 있음을 의미하는 지극히 정상적인 동작이다
  • 위 화면의 아래에서 4번째 줄에 출력된 port 번호를 확인한 후 Crome 창을 열고 localhost:8080 을 입력한다
    - 아래와 같이 에러가 뜨면 성공이다
    - 현재 아무것도 작성한 내용이 없으므로 에러가 뜨는 것이 정상이다

  • IntelliJ 에서 실행을 중단한 후 다시  localhost:8080 화면을 새로고침 한다
    - 아래와 같이 출력되면 정상이다
    - 스프링부트 파일을 실행 중단하였으므로 8080 port에 연결할 수 없는 것이다

  • 간단히 출력화면을 보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작성 후 실행해 본다
    - [src] > [main] > [resources] > [static] > 마우스 우클릭 > 새로만들기 > HTML > 이름을 hello 로 입력 후 Enter
    - 아래와 같이 HTML 화면이 나오면 body에 아래와 같이 작성한다
<body>
    <h1>Hello SpringBoot World!!!</h1>
</body>

  • main > java 파일을 재실행 한 후 새로 작성한 HTML파일이 실행되도록 Crome에서 localhost:8080/hello.html 을 입력한다

실행 화면

'Spring Framewor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Spring Framework - AOP  (0) 2022.06.22
Spring Framework - DI - Spring Container  (0) 2022.06.19
Spring Framework - IoC / DI - 기초  (0) 2022.06.17
Spring Framework 특징  (0) 2022.06.15
Spring Framework - 정의  (0) 2022.06.15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