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RDS 연결
1) 데이터베이스 생성
- AWS RDS를 검색하여 이동한다
- 좌측의 데이터베이스를 클릭한다
- 우측의 '데이터베이스 생성'을 클릭한다

- 데이터베이스 생성방식은 표준으로 한다
- 엔진 옵션은 사용하고 있는 엔진을 선택한다
- 작성자는 MySQL을 선택하였다 - 엔진의 버젼을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버젼을 확인 후 설정한다

- 템플릿은 '프리티어'를 선택한다

- DB 인스턴스 식별자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해도 된다
- 마스터 사용자 이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해도 된다
- 마스터 암호는 자동생성할 수도 있으며 직접 설정해도 된다

- DB인스턴스 클래스는 '버스터블 클래스'로 자동 선택된다
- db.t2를 선택한다(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)
- 스토리지는 범용 SSD(gp2)를 선택한다(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)
- 할당 스토리지는 20GiB이다
- 스토리지 자동조정은 필요에 따라 할 수 있지만 요금이 부과되는 점을 상기한다

- 컴퓨팅 리소스는 연결하지 않는다(고정으로 하고 싶다면 연결을 설정해도 된다)
- 연결을 설정하면 VPC등의 설정이 자동으로 제공된다 - 퍼블릭 엑서스는 '예'로 선택한다
- VPC보안그룹은 기본으로 선택한다
- 데이터베이스 포트는 기본 '3306'으로 설정한다

- 추가구성을 연다
- 초기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임의로 설정한다(지정하지 않으면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지 않는다)

- 나머지 설정은 기본 설정된 상태로 두고 데이터베이스 생성을 클릭한다

- 데이터베이스 생성에 약간의 시간이 소요된다
- '생성 중' 문구가 '사용 가능'으로 변경될 때까지 기다린다


- 생성된 데이터베이스 이름을 클릭한다
- 연결&보안에서 엔드포인트를 확인하고 복사한다

- powershell을 연다
- MySQL 을 통해서 DB 인스턴스에 접속해 본다
- 'mysql -u [마스터 이름] --host [엔드 포인트 주소] -P 13306(포트 번호) -p' 명령어를 입력한다
'mysql -u [마스터 이름] --host [엔드 포인트 주소] -P 3306(포트 번호) -p'
[작성 예시]
mysql -u main_002 --host main-002-db.cnudh2fbavc7.ap-northeast-2.rds.amazonaws.com -P 3306 -p
- 비밀번호를 입력한다
- mysql> 이 출력되면 연결된 것이다

'클라우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Cloud - AWS(3) - EC2 인스턴스에 태그와 역할 부여/파이프라인 구축 (0) | 2022.09.27 |
|---|---|
| Cloud - AWS(2) - EC2 인스턴스 생성 (0) | 2022.09.27 |
| Cloud - AWS(1) - 계정 생성 (0) | 2022.09.27 |
| Cloud - 배포자동화(Automated Deployment) (0) | 2022.08.07 |
| Cloud - 배포 컨테이너 - Docker Image (0) | 2022.08.07 |